음반 Discography
Behind The Mask +3
일반
분 류 : | 싱글 / 솔로 |
발매일 : | 1993 |
장 르 : | Electronic |
시 간 : | 27:08 |
포 맷 : | CD |
레이블 : |
Midi Inc. (MDCZ-1223)
'91년 최초발매 (Midi Inc., MDC3-1071), '93년 재발매 (Midi Inc., MDCL-1248, '93.09.21.) |
발매국 : | ![]() |
트랙
Credits :
1. | Behind The Mask Lyrics By - Michael Jackson | 5:29 |
2. | Risky Music By - Bill Laswell Music By, Lyrics By - Iggy Pop | 6:22 |
3. | Field Work Lyrics By - Ryuichi Sakamoto Music By, Lyrics By - Thomas Dolby | 5:07 |
4. | Steppin' Into Asia (TV Track) Lyrics By - Akiko Yano | 3:39 |
5. | Field Work (Edit) Lyrics By - Ryuichi Sakamoto Music By, Lyrics By - Thomas Dolby | 2:34 |
6. | 両眼微笑 (Instrumental) Music By - Ryuichi Sakamoto | 3:57 |
참여
- Backing Vocals – Lynn Mabry (tracks: 1, 3, 5)
- Bass, Backing Vocals – Barry Johnson
- Drums – David Palmer
- Guitar, Backing Vocals – Eddie Martinez, Haruo Kubota
- Keyboards, Backing Vocals – Jeff Bova
- Keyboards, Backing Vocals, Music By, Arranged By, Producer – Ryuichi Sakamoto
- Lead Vocals, Backing Vocals – Bernard Fowler
- Mixed By – Shigeru Takise
- Producer, Arranged By – Hajime Tachibana (tracks: 5)
- Synthesizer – Hiroaki Sugawara
소개
1987년 NEO GEO 투어 후에 뉴욕 스튜디오에서 라이브 레코딩되어 12인치 싱글로 발매된 Behind The Mask(1,2,3번 곡 수록)에 예전의 3곡이 추가된 CD.
1번곡인 Behind The Mask는 YMO 시절의 가사가 아닌 마이클 잭슨이 작사한 것을 사용하고 있는데, 일본을 방문 중이던 프로듀서 퀸시 존스가 YMO의 이 곡을 마음에 들어하여, 앨범 Thriller 제작 중에 마이클이 가사와 멜로디를 보완하여 녹음까지 진행하였다. 그러나 사카모토 측이 발매 전 청음을 요청했지만 마이클 측이 이에 응하지 않았고, 판권 분배 비율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해 녹음에 이르지 못했다. 나중에 사카모토는 자신의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허락했으면 좋았을지도 모른다고 나중에 농담으로 유키히로에게 말했다(웃음)"고 말했다. 이 버전은 당시 마이클의 지원 키보드 연주자였던 그렉 필링게인즈(Greg Phillinganes)에 의해 두 번째 앨범 Pulse에 수록되었다. 또한 그렉이 에릭 클랩튼의 서포트를 맡았던 관계로 클랩튼의 앨범 August에도 수록되어 있다. 사카모토 자신도 1986년 솔로 라이브 투어 Media Bahn Live에서 마이클의 버전을 커버했다. 마이클 잭슨의 편곡 버전은 2010년 잭슨의 미발표곡을 모은 앨범 MICHAEL에 처음 수록되었으며, 2022년에 발매된 스릴러의 40주년 기념판 '스릴러 40'에 1982년 당시 작업한 오리지널 버전이 수록되었다.
Behind The Mask의 첫 수록은 1979년 발매된 옐로 매직 오케스트라(YMO)의 앨범 '솔리드 스테이트 서바이버'이다. 그러나 라이브로는 1st 앨범 발매전 데뷔 라이브에서 연주되었다. 사카모토가 세이코의 CM곡으로 만든 곡이 베이스가 되며, 그 트랙은 YMO의 베스트 앨범 'UC YMO'에 수록되어 있다.
그동안 난해한 코드 진행을 자랑해 온 사카모토 류이치였는데, 이 곡은 단순한 이른바 락 코드 진행(F-D♭-E♭-Cm/C)을 사용하고 있다. 멜로디는 사카모토와 다카하시 유키히로가 공동으로 담당했기 때문에 어느 시기까지는 다카하시가 작곡자로 함께 크레디트되어 있었다. 본 곡은 수많은 커버 버전이 보여주듯 해외에서의 평가가 높다. 그러나 호소노 하루오미와 다카하시는 이 곡을 처음 들었을 때 매우 평범한 곡이라고 생각한 것 같고, 특히 호소노는 이 곡의 훌륭함을 인식하지 못한 자신에게 "프로듀서로서는 실격"이라고 말했다.
녹음 과정과 관련, Solid State Survivor에서는 곡의 완성까지 5일이 걸렸으며, 녹음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졌다고 마츠타케 히데키(松武秀樹)의 저서 「단 한 사람의 풀밴드」(1981년 출간)에서 밝히고 있다. 베이스 → 아르페지오 → 킥(MOOG III-C) → 스네어, 하이햇(타카하시 유키히로) → 테마 → 보코더, 코드 또한, 연주 시작을 알리는 신호음의 일부를 곡의 일부로 사용하고 있다.
해외 투어에서 본곡을 연주하자 청중이 춤추는 현상이 일어났고, 사카모토가 이 곡만은 현지 청중이 "록큰롤이다!"라고 떠들었다고 몇 번이나 말했고, 그 이유는 작곡자 자신도 알 수 없다고 말했다.
1번곡인 Behind The Mask는 YMO 시절의 가사가 아닌 마이클 잭슨이 작사한 것을 사용하고 있는데, 일본을 방문 중이던 프로듀서 퀸시 존스가 YMO의 이 곡을 마음에 들어하여, 앨범 Thriller 제작 중에 마이클이 가사와 멜로디를 보완하여 녹음까지 진행하였다. 그러나 사카모토 측이 발매 전 청음을 요청했지만 마이클 측이 이에 응하지 않았고, 판권 분배 비율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해 녹음에 이르지 못했다. 나중에 사카모토는 자신의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허락했으면 좋았을지도 모른다고 나중에 농담으로 유키히로에게 말했다(웃음)"고 말했다. 이 버전은 당시 마이클의 지원 키보드 연주자였던 그렉 필링게인즈(Greg Phillinganes)에 의해 두 번째 앨범 Pulse에 수록되었다. 또한 그렉이 에릭 클랩튼의 서포트를 맡았던 관계로 클랩튼의 앨범 August에도 수록되어 있다. 사카모토 자신도 1986년 솔로 라이브 투어 Media Bahn Live에서 마이클의 버전을 커버했다. 마이클 잭슨의 편곡 버전은 2010년 잭슨의 미발표곡을 모은 앨범 MICHAEL에 처음 수록되었으며, 2022년에 발매된 스릴러의 40주년 기념판 '스릴러 40'에 1982년 당시 작업한 오리지널 버전이 수록되었다.
Behind The Mask의 첫 수록은 1979년 발매된 옐로 매직 오케스트라(YMO)의 앨범 '솔리드 스테이트 서바이버'이다. 그러나 라이브로는 1st 앨범 발매전 데뷔 라이브에서 연주되었다. 사카모토가 세이코의 CM곡으로 만든 곡이 베이스가 되며, 그 트랙은 YMO의 베스트 앨범 'UC YMO'에 수록되어 있다.
그동안 난해한 코드 진행을 자랑해 온 사카모토 류이치였는데, 이 곡은 단순한 이른바 락 코드 진행(F-D♭-E♭-Cm/C)을 사용하고 있다. 멜로디는 사카모토와 다카하시 유키히로가 공동으로 담당했기 때문에 어느 시기까지는 다카하시가 작곡자로 함께 크레디트되어 있었다. 본 곡은 수많은 커버 버전이 보여주듯 해외에서의 평가가 높다. 그러나 호소노 하루오미와 다카하시는 이 곡을 처음 들었을 때 매우 평범한 곡이라고 생각한 것 같고, 특히 호소노는 이 곡의 훌륭함을 인식하지 못한 자신에게 "프로듀서로서는 실격"이라고 말했다.
녹음 과정과 관련, Solid State Survivor에서는 곡의 완성까지 5일이 걸렸으며, 녹음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졌다고 마츠타케 히데키(松武秀樹)의 저서 「단 한 사람의 풀밴드」(1981년 출간)에서 밝히고 있다. 베이스 → 아르페지오 → 킥(MOOG III-C) → 스네어, 하이햇(타카하시 유키히로) → 테마 → 보코더, 코드 또한, 연주 시작을 알리는 신호음의 일부를 곡의 일부로 사용하고 있다.
해외 투어에서 본곡을 연주하자 청중이 춤추는 현상이 일어났고, 사카모토가 이 곡만은 현지 청중이 "록큰롤이다!"라고 떠들었다고 몇 번이나 말했고, 그 이유는 작곡자 자신도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출처 : ja.wikipedi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