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반 Discography
async
버전
CD | 2017 | JP | Commmons | RZCM-86314
CD | 2017 | FR | Milan | 399 902-2
Vinyl×2, 12" | 2017 | JP | Commmons | RZCM-86312/13
Blu-ray | 2018 | JP | Commmons | RZXM-86550
일반
분 류 : | 앨범 / 솔로 |
발매일 : | 2017-03-29 |
장 르 : | Ambient |
시 간 : | 60:34 |
포 맷 : | CD |
레이블 : |
Commmons (RZCM-86314)
한국 (C&L Music, CNLR1708, '17.04.28.), 미국 (Milan, M2-36830, '17.03.29.) |
발매국 : | ![]() |
트랙
Credits :
1. | Andata Computer, Guitar - Christian Fennesz | 4:39 |
2. | Disintegration | 5:46 |
3. | Solari | 3:52 |
4. | Zure | 5:12 |
5. | Walker | 4:20 |
6. | Stakra | 3:41 |
7. | Ubi | 4:03 |
8. | Fullmoon Percussion [Glass Singing Bowl] - N.S.S. Vocals [Spoken Word] - Andri Magnason, Bernardo Bertolucci, Carsten Nicolai, Christine Leboutte, Jose Lavat, Keyko Nimsay, Priscilla Leung, Sergei Mihailov, Shirin Neshat, Tang Kit Ming | 5:13 |
9. | Async | 2:45 |
10. | Tri Percussion - Ian Antonio, Levy Lorenzo, Ross Karre | 3:29 |
11. | Life, Life Sho - Ko Ishikawa Vocals - Luca Vocals [Spoken Word] - David Sylvian Words By - Arseny Tarkovsky | 4:24 |
12. | Honj Shamisen - Honjoh Hidejiro | 3:42 |
13. | FF | 5:13 |
14. | Garden Concertmaster - Simon James Contractor - David Sabee | 4:16 |
참여
- Art Direction, Photography – Shiro Takatani
- Design – Takuya Minami
- Engineer [ProTools] – Kory Kruckenberg (tracks: 14)
- Engineer [Recording] – Conrad Hensel (tracks: 14)
- Engineer [Second] – John Winters (tracks: 14)
- Engineer [Studio Assistant] – Jason Staniulis, Matthew Sim
- Executive-Producer – Masato "Max" Matsuura
- Legal [Coordination] – Evan Balmer
- Mastered By – Bob Ludwig
- Mixed By – Conrad Hensel
- Music By – Ryuichi Sakamoto
- Other [Production Assistant], Administrator – Mai Yuda
- Other [Team SKMT] – Hirokazu Tanaka, Itosoken, Sungwon Kim
- Producer – Ryuichi Sakamoto
- Producer [Art Producer] – Yoko Takatani
- Producer [Associate] – Norika Sora
- Production Manager – Akiko Kato
- Production Manager, Engineer [Assistant] – Alec Fellman
- Public Relations – Satoshi Nakashiro
- Recorded By [Recording Engineer] – Alex Venguer, Ryan Kelly, Seigen Ono
- Stage Manager – Jon Schluckebier (tracks: 14)
- Supervised By [Executive Supervisor Label] – Shinji Hayashi
- Supervised By [Label] – Hisaou Wakaizumi, Toshiki Shida
- Technician [Piano] – Kaz Tsujio
소개
사카모토의 19번째 솔로 스튜디오 앨범이며, 2009년 Out Of nOise 이후 오리지널 앨범으로는 8년 만의 작품이다. 또한, 2015년 후두암에서 회복한 이후 처음으로 발매한 솔로 정규 앨범이기도 하다. 2010년대를 걸쳐 보급되어 온 하이레조(고해상도) 재생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그동안 사용해 온 수많은 디지털 기자재를 철폐하고, 아날로그 기자재를 중심으로 한 심플한 제작 환경에서 제작되었다.
2009년 이후로 사카모토는 8년 동안 자신의 작곡 과정에서 영감을 얻지 못하는 시기를 겪었고, 그 결과 솔로 작품을 제작하는 대신 대부분의 시간을 영화 음악 작업에 집중했다. 2014년에 솔로 앨범을 위한 아이디어를 구상하기 시작했지만, 같은 해 후두암 진단을 받으며 이 계획을 폐기해야 했고, 이후 완전히 커리어를 중단하게 되었다. 2015년 8월, 병에서 회복했음에도 사카모토는 async가 자신의 마지막 앨범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이렇게 말했다. "그래서 모든 규칙과 형식을 잊으려고 했어요. 그냥 제가 듣고 싶은 소리를 남기고 싶었죠. 그것이 소리든 음악이든 상관없이. 이게 마지막이 될 수도 있으니까요."
그는 2016년 4월, 영화 Rage (2016)의 사운드트랙 작업을 마친 후 async를 완전히 처음부터 제작하기 시작했고, 8개월 만에 완성했다.
본작은 사카모토 류이치의 다큐멘터리 영화 'Ryuichi Sakamoto:CODA'에 그려져 있듯이 '비동기적인 음악을 만든다'는 목표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사카모토는 "동기화되는 것에 즐거움을 느끼는 것이 인간의 본성"이라고 말하며, "동기화되지 않는 비전통적인 음악을 만들고 싶었다. 마치 존재하지 않는 언어로 말하는 것처럼"이라 덧붙였다. 그는 오랫동안 이런 음악을 만들고 싶었지만, "비동기적인(async) 음악을 만들면서도 여전히 음악적으로 들리게 하는 것"이 어려웠다고 밝혔다.
사카모토는 async를 제작하며 자신의 음악적 관심이 단순한 '음악'에서 '소리와 음악'으로 확장되고 있다고 느꼈고, 이에 따라 필드 레코딩을 활용해 '많은 기묘한 소리들'을 포착했다. 그는 뉴욕, 도쿄, 교토, 파리의 거리를 걸으며 휴대전화 마이크를 이용해 녹음했으며, 이 작업은 앨범 제작 기간 중 네 달을 차지했다. 사카모토가 녹음한 소리는 거리 소음, 동물 소리, 나뭇잎, 물, 빗소리처럼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마주하는 것들이었다.
async는 암으로 오랜 시간 투병하며 발견한 열정과 창조에 대한 새로운 에너지로 만들어낸 사카모토 류이치의 가장 개인적인 음악이 담겨있으며, "그런데 나는 지금, 어떤 ‘음/음악’이 듣고 싶은 걸까."라는 질문에서 시작하여 몇 년동안 사카모토가 자기 자신에게 물어온 대답을 담아내고 있다. '타르코프스키의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영화의 사운드트랙'이라는 컨셉으로 아날로그 신서사이저에서, 피아노 그리고 다양한 사물과 장소에서 가져온 소리가 함께 한다.
2016년 12월 29일, 사카모토의 공식 사이트에 'Ryuichi Sakamoto : SN/M 비율 50%'라는 메시지를 게재했다. 이듬해 2월 17일, 본작의 특설 사이트를 개설하고, 거기서 '너무 좋아서, 누구에게도 듣려 주고 싶지 않다'는 사카모토의 의향과 그에 따른 사전 음원 공개를 일절 하지 않는다는 취지를 표명했다. 사카모토의 발자취를 더듬는 '예습'과 각계 저명인사들의 새 앨범의 '예상'을 공개했다.
본작 발매 후인 2017년 4월 4일~5월 28일, 와타리움 미술관에서 'Ryuichi Sakamoto | async 설치 음악전'을 개최. 본작의 5.1채널 서라운드 믹스 버전을 타카타니 시로의 영상과 함께 감상하는 플로어나, 아피찻퐁 위라세타쿤(Apichatpong Weerasethakul)의 단편 영상 등으로 구성됐다. 또, 미술관 1층에서는 내방객들이 메모지에 코멘트를 붙여, 그 발췌인 '해독'과 일부 댓글에 대한 사카모토의 '답신'이 본작 특설 사이트에 게재되었다.
2017년 4월 25일~26일, 뉴욕 파크 애비뉴 아모리(Park Avenue Armory)에서 본작 수록곡을 연주하는 라이브가 개최되었고, 이를 편집한 영화 '사카모토 류이치 PERFORMANCE IN NEW YORK: async'가 다음 해인 2018년 1월 27일부터 공개되었다.
영국의 FACT지는 The 50 best albums of 2017 1위에, 미국의 PITCHFORK는 The 20 Best Experimental Albums of 2017 4위에 본 작품을 선정했다.
본작은 CD, LP, 음원(AAC, MP3), 블루레이 등 다양한 매체로 발매되었으며, 12인치 중량반 2매 세트(RZCM-86312/13) 및 블루레이에는 CD에 미수록된 보너스 트랙 waterstate2가 추가 수록되어 있다. LP는 당초 CD와 동시 발매 예정이었으나 제작사의 사정으로 5월 17일 발매되었다.
2017년 12월에는 async의 곡들을 리믹스한 앨범 ASYNC – REMODELS가 발매되었다.
2018년에는 async의 완결판이라 할 async surround가 blu-ray로 발매되었는데, 전곡을 5.1채널(24bit/96kHz) 믹스하여 서라운드로 구현한 작품이다(사카모토는 당초부터 서라운드를 염두해 async를 제작함). 2018년, 서울에서 개최된 전시 'LIFE, L I F E'에서 이 서라운드 사운드를 들어볼 수 있었다. 타카타니 시로의 전시 영상과 'async - 단편 영화 공모전'을 통해 800편의 후보 중 수상한 세 작품의 영상도 담겨 있다.
2009년 이후로 사카모토는 8년 동안 자신의 작곡 과정에서 영감을 얻지 못하는 시기를 겪었고, 그 결과 솔로 작품을 제작하는 대신 대부분의 시간을 영화 음악 작업에 집중했다. 2014년에 솔로 앨범을 위한 아이디어를 구상하기 시작했지만, 같은 해 후두암 진단을 받으며 이 계획을 폐기해야 했고, 이후 완전히 커리어를 중단하게 되었다. 2015년 8월, 병에서 회복했음에도 사카모토는 async가 자신의 마지막 앨범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이렇게 말했다. "그래서 모든 규칙과 형식을 잊으려고 했어요. 그냥 제가 듣고 싶은 소리를 남기고 싶었죠. 그것이 소리든 음악이든 상관없이. 이게 마지막이 될 수도 있으니까요."
그는 2016년 4월, 영화 Rage (2016)의 사운드트랙 작업을 마친 후 async를 완전히 처음부터 제작하기 시작했고, 8개월 만에 완성했다.
본작은 사카모토 류이치의 다큐멘터리 영화 'Ryuichi Sakamoto:CODA'에 그려져 있듯이 '비동기적인 음악을 만든다'는 목표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사카모토는 "동기화되는 것에 즐거움을 느끼는 것이 인간의 본성"이라고 말하며, "동기화되지 않는 비전통적인 음악을 만들고 싶었다. 마치 존재하지 않는 언어로 말하는 것처럼"이라 덧붙였다. 그는 오랫동안 이런 음악을 만들고 싶었지만, "비동기적인(async) 음악을 만들면서도 여전히 음악적으로 들리게 하는 것"이 어려웠다고 밝혔다.
사카모토는 async를 제작하며 자신의 음악적 관심이 단순한 '음악'에서 '소리와 음악'으로 확장되고 있다고 느꼈고, 이에 따라 필드 레코딩을 활용해 '많은 기묘한 소리들'을 포착했다. 그는 뉴욕, 도쿄, 교토, 파리의 거리를 걸으며 휴대전화 마이크를 이용해 녹음했으며, 이 작업은 앨범 제작 기간 중 네 달을 차지했다. 사카모토가 녹음한 소리는 거리 소음, 동물 소리, 나뭇잎, 물, 빗소리처럼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마주하는 것들이었다.
async는 암으로 오랜 시간 투병하며 발견한 열정과 창조에 대한 새로운 에너지로 만들어낸 사카모토 류이치의 가장 개인적인 음악이 담겨있으며, "그런데 나는 지금, 어떤 ‘음/음악’이 듣고 싶은 걸까."라는 질문에서 시작하여 몇 년동안 사카모토가 자기 자신에게 물어온 대답을 담아내고 있다. '타르코프스키의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영화의 사운드트랙'이라는 컨셉으로 아날로그 신서사이저에서, 피아노 그리고 다양한 사물과 장소에서 가져온 소리가 함께 한다.
"타르코프스키 감독 작품 속엔 물소리도 있고 바람 소리에 발자국 소리도 들어있죠. 다양한 소리가 풍요롭게 표현돼 있어요. 그에게 사물의 소리란 깊은 애정과 숭배의 대상이었죠. 그래서 사물의 소리와 그의 사운드트랙은 아주 특별한 관계가 있어요. 그의 영화 속에는 복잡한 음향세계가 존재해요. 그런 면에서 그는 음악가라고 할 수 있죠. 긴 고민 끝에 좋아하는 타르코프스키 영화의 사운드트랙 같은 걸 만들면 좋겠다 싶었어요. 그런 앨범을 만들 수 있다면 무척 기쁠 것 같아요."
영화 '류이치 사카모토: 코다' 중에서
영화 '류이치 사카모토: 코다' 중에서
2016년 12월 29일, 사카모토의 공식 사이트에 'Ryuichi Sakamoto : SN/M 비율 50%'라는 메시지를 게재했다. 이듬해 2월 17일, 본작의 특설 사이트를 개설하고, 거기서 '너무 좋아서, 누구에게도 듣려 주고 싶지 않다'는 사카모토의 의향과 그에 따른 사전 음원 공개를 일절 하지 않는다는 취지를 표명했다. 사카모토의 발자취를 더듬는 '예습'과 각계 저명인사들의 새 앨범의 '예상'을 공개했다.
「어쩌면 사실은, 아직 전혀 완성되지 않은 것은 아닐까요?」
- U-zhaan
「어떤 것이 소리가 되어오는지 상상하는 것이 제일의 즐거움이라고 생각합니다. 여러분이 그가 이런 앨범을 만들지 않았을까라고 상상하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그리고 저는 그것이 생각했던 것과 전혀 달라도 진심으로 납득할 겁니다」
- 타카하시 유키히로
- U-zhaan
「어떤 것이 소리가 되어오는지 상상하는 것이 제일의 즐거움이라고 생각합니다. 여러분이 그가 이런 앨범을 만들지 않았을까라고 상상하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그리고 저는 그것이 생각했던 것과 전혀 달라도 진심으로 납득할 겁니다」
- 타카하시 유키히로
본작 발매 후인 2017년 4월 4일~5월 28일, 와타리움 미술관에서 'Ryuichi Sakamoto | async 설치 음악전'을 개최. 본작의 5.1채널 서라운드 믹스 버전을 타카타니 시로의 영상과 함께 감상하는 플로어나, 아피찻퐁 위라세타쿤(Apichatpong Weerasethakul)의 단편 영상 등으로 구성됐다. 또, 미술관 1층에서는 내방객들이 메모지에 코멘트를 붙여, 그 발췌인 '해독'과 일부 댓글에 대한 사카모토의 '답신'이 본작 특설 사이트에 게재되었다.
2017년 4월 25일~26일, 뉴욕 파크 애비뉴 아모리(Park Avenue Armory)에서 본작 수록곡을 연주하는 라이브가 개최되었고, 이를 편집한 영화 '사카모토 류이치 PERFORMANCE IN NEW YORK: async'가 다음 해인 2018년 1월 27일부터 공개되었다.
영국의 FACT지는 The 50 best albums of 2017 1위에, 미국의 PITCHFORK는 The 20 Best Experimental Albums of 2017 4위에 본 작품을 선정했다.
- 1번곡 andata는 바로크 음악부터 전자음향/일렉트로니카까지 일직선으로 묶는 본작을 대표하는 악곡으로, 교회가 바다에 집어삼켜지는 광경을 상상하며 만든 곡이다. 본 앨범에서는 암진단 전에 만들어진 유일한 곡이다.
- 4번곡 ZURE에서는 동일본 대지진으로 학교 건물이 피해를 입은 미야기현 농업 고등학교 창고에 있던 '쓰나미 피아노'가 사용되고 있다. 사카모토는 이에 대해 "피아노는 체계적으로, 산업적으로 설계된 악기지만, 결국 자연의 일부에서 온 것이죠. 인류는 인위적으로 조율하여 평균율을 만들었지만, 피아노를 오랫동안 조율하지 않고 내버려 두면 결국 음이 틀어지게 됩니다."라고 말했다.
- 5번곡 Walker에서 나뭇잎을 밟는 발자국 소리는 사카모토가 필립 존슨의 Glass House를 둘러싼 낙엽이 가득한 숲길을 걸으며 10~15분 동안 자신의 발소리를 녹음한 것이다. 후에 사카모토와 알바 노토는 Glass House에서 즉흥 연주곡 Glass를 녹음했다.
- 8번곡 Fullmoon의 연설은 폴 보울스(Paul Bowles)의 소설 The Sheltering Sky(1949)의 한 구절을 오버레이한 번역본이다. 소설은 동명의 영화로도 만들어져 사카모토도 OST로 참여했는데, 당시 사카모토는 30대 중반으로 이 대사에 강렬한 인상을 받았지만 본인의 이야기로 받아들이지는 않았다. 하지만 2014년 중인두암을 발견한 후부터는 자연스레 죽음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으며, 이는 fullmoon을 만들게 된 계기가 되었다. 이 곡은 보울스의 구절을 영화에서 따와 샘플링한 후 같은 문장을 중국어, 독일어, 페르시아어 등의 언어로 번역해 각 언어의 원어민 아티스트들이 낭독한 것이다. 가장 마지막 언어는 이탈리아였으며, 이는 베르톨루치 감독의 녹음이다. 베르톨루치는 이 곡을 완성한지 1년 만에 세상을 떠났으며, 그가 생전 마지막으로 자신을 드러낸 것이 fullmoon에서의 목소리 출연이 되었다.
Because we don’t know when we will die, we get to think of life as an inexhaustible well. Yet everything happens only a certain number of times, and a very small number really. How many more times will you remember a certain afternoon of your childhood, some afternoon that is so deeply a part of your being that you can’t even conceive of your life without it? Perhaps four or five times more, perhaps not even that. How many more times will you watch the full moon rise? Perhaps twenty. And yet it all seems limitless.
언제 죽을지 모르기 때문에 삶이 무한하다 여긴다. 모든 건 정해진 수만큼 일어난다. 극히 소수에 불과하지만 어린 시절의 오후를 얼마나 더 기억하게 될까? 어떤 오후는 당신의 인생에서 절대 잊지 못할 날일 것이다. 네다섯번은 더 될지도 모른다. 그보다 적을 수도 있겠지. 꽉 찬 보름달을 얼마나 더 보게 될까? 어쩌면 스무번, 모든게 무한한 듯 보일지라도.
Paul Bowles의 The Sheltering Sky 중에서
언제 죽을지 모르기 때문에 삶이 무한하다 여긴다. 모든 건 정해진 수만큼 일어난다. 극히 소수에 불과하지만 어린 시절의 오후를 얼마나 더 기억하게 될까? 어떤 오후는 당신의 인생에서 절대 잊지 못할 날일 것이다. 네다섯번은 더 될지도 모른다. 그보다 적을 수도 있겠지. 꽉 찬 보름달을 얼마나 더 보게 될까? 어쩌면 스무번, 모든게 무한한 듯 보일지라도.
Paul Bowles의 The Sheltering Sky 중에서
- 10번곡 Tri는 3명의 뮤지션(Ian Antonio, Levy Lorenzo, Ross Karre)에 의한 트라이앵글 연주의 편집되지 않은 녹음이다. 트랙 후반부의 트라이앵글 소리는 디지털로 프로그래밍된 것처럼 들리나, 사카모토는 3명의 음악가가 '완벽주의자'였기에 트라이앵글 소리가 기계음처럼 들리기를 원해 10회 이상의 테이크를 거듭했다고 말했다.
- 11번곡 Life, Life는 러시아 시인 Arseny Tarkovsky의 시집 Life, Life에 수록된 And this I dreamt, this I dream이라는 시의 내용을 담고 있다. 목소리는 David Sylvian.
- 13번곡 ff는 foggy Fujiko를 뜻하며, 일본인 아티스트 Fujiko Nakaya가 2017년, 오슬로의 국립박물관 옥상 테라스에 설치한 안개 조각상을 위해 작곡된 곡이다.
본작은 CD, LP, 음원(AAC, MP3), 블루레이 등 다양한 매체로 발매되었으며, 12인치 중량반 2매 세트(RZCM-86312/13) 및 블루레이에는 CD에 미수록된 보너스 트랙 waterstate2가 추가 수록되어 있다. LP는 당초 CD와 동시 발매 예정이었으나 제작사의 사정으로 5월 17일 발매되었다.
2017년 12월에는 async의 곡들을 리믹스한 앨범 ASYNC – REMODELS가 발매되었다.
2018년에는 async의 완결판이라 할 async surround가 blu-ray로 발매되었는데, 전곡을 5.1채널(24bit/96kHz) 믹스하여 서라운드로 구현한 작품이다(사카모토는 당초부터 서라운드를 염두해 async를 제작함). 2018년, 서울에서 개최된 전시 'LIFE, L I F E'에서 이 서라운드 사운드를 들어볼 수 있었다. 타카타니 시로의 전시 영상과 'async - 단편 영화 공모전'을 통해 800편의 후보 중 수상한 세 작품의 영상도 담겨 있다.
출처 : ja.wikipedia.org
링크
- 인터뷰 - 사카모토 류이치가 async에 대해 이야기하다.
- 인터뷰 - 류이치 사카모토는 그 어느 때보다 가까이서 듣고 있다.
- 인터뷰 - 사카모토 류이치, 신작 async를 말하다 ─ "가장 제멋대로 만든 작품"
- async 특설사이트 - skmtcommmons.com
- 관련기사 - 한국과 일본, 국경도 여권검사도 없는 ‘작은 EU’처럼 됐으면
- Wikipedia - async